2025/07/11 3

17. 생후 37~39개월 손기술 발달 (도구 활용을 통한 손의 창의적 응용력 발달)

1. ‘손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서 ‘무엇을 만들 수 있을까?’로생후 37~39개월에 접어든 아이는 손을 활용하는 방식에서 커다란 질적 변화를 보여준다. 이전까지는 주어진 물건을 다루는 데 집중했다면, 이제는 ‘손으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즉, 손의 움직임은 단순 조작을 넘어 창조적 활동으로 전환된다. 대표적인 것이 도구 활용 능력의 확장이다. 가위를 이용해 원하는 모양을 자르거나, 풀을 사용해 종이를 붙이고, 크레용이나 마커로 의도적인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는 모습은 아이가 손과 도구를 연계하여 목적 있는 창작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는 신호다. 이제 손은 더 이상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도구가 아니라, 아이의 머릿속 생각과 계획을 실현하는 능동적 창작의 수단으로 성..

카테고리 없음 2025.07.11

16. 생후 34~36개월 손기술 발달 (손을 통한 자립 행동의 완성과 일상 속 실천)

1. 손기술이 생활 능력으로 전환되는 시기생후 34~36개월이 되면 아이의 손기술은 단순한 놀이나 조작 단계를 넘어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자립 능력으로 연결되기 시작한다. 이전까지는 옷을 입거나 수저질을 할 때 많은 도움을 필요로 했지만, 이제는 “내가 할래”라는 말을 하며 스스로 시도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 시기의 아이는 이미 손의 조정 능력, 힘 조절, 순서 기억 등 기초적인 손기술을 충분히 익혔기 때문에, 생활 속 동작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된다. 이를테면 신발을 신을 때 벨크로를 떼고 발을 넣은 뒤 다시 붙이는 일련의 행동, 옷을 뒤집어 입지 않도록 확인하고 단추를 끼우는 동작, 수저로 음식을 떠서 입에 넣고 흘리지 않도록 조절하는 능력 등은 손기술이 자립으로 구체화되는 사례..

카테고리 없음 2025.07.11

15. 생후 31~33개월 손기술 발달 (규칙 속에서 길러지는 손의 자기조절력)

1. 손의 사용이 ‘조절’되는 단계로생후 31~33개월은 아이의 손기술이 속도보다 ‘조절’에 집중되는 시기다. 이전까지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다양한 시도를 해봤다면, 이제는 “어떻게 움직이면 더 잘할 수 있을까?”라는 내면적 통제와 판단이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한다. 대표적인 예로 퍼즐을 끼울 때 너무 세게 밀어 넣지 않으려고 힘을 조절한다든지, 물컵을 들고 물을 흘리지 않으려고 천천히 걷는 모습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손의 기능 자체가 정교해졌을 뿐 아니라, 아기 스스로도 자신의 행동에 대해 규칙과 결과를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다. 즉, 이 시기의 손은 단순히 동작을 실행하는 도구가 아니라, 생각을 통제하고 감정을 조절하는 도구로 기능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손을 통해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다는 것..

카테고리 없음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