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평가와 목표 설정: 손기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부터작업치료와 관련된 개입은 단순한 놀이 수업이 아닌, 아동의 기능적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목표 지향적으로 접근하는 전문적 개입이다. 특히 손기술 발달 지연의 경우, 작업치료사는 먼저 아동의 현재 기능을 다면적으로 평가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때 사용되는 평가는 정규화된 검사도구(예: PDMS-2, BOT-2, M-FUN 등)를 포함하며, 손의 조작 능력, 양손 협응, 눈-손 협응, 손가락 정교성, 움직임의 질, 지구력, 감각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부모 인터뷰, 교사의 관찰기록, 일상생활 수행 능력(예: 자조기술, 놀이참여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아동의 손기술 발달 상태를 전체적으로 진단한다.이 평가를 바탕으로 작업치료..